동물의 세상18 반려견, 새끼 강아지 ‘퍼피 라이선스 Puppy License’ ◈반려견, 새끼 강아지 ‘퍼피 라이선스 Puppy License’ ▶‘퍼피 라이선스 Puppy License’ '퍼피 라이선스'는 유럽의 유명한 반려견 훈련사 투리드 루가스 Turid Rugaas가 만든 타이틀이라고 한다. 생후 4개월~ 5개월 사이의 강아지는 무슨 실수를 하던 혼내지 않도록 하자는 취지로 만들어졌다. 만약에 아무 데서나 실수해도 괜찮고 종이를 물어뜯어도 괜찮다는 이야기이다. 강아지는 물고 뜯기도 하고, 냅다 달리면서 점프도 하고 갑자기 뛰다가 땅을 파기도 하고, 껑충껑충 좋아서 뛰다가 화분을 넘어뜨리고, 좋다고 핥고, 쉬하고 때로는 자기들끼리 싸우면서 먹이를 보고는 달려드는 게 당연한 강아지들의 일상을 이해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한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강아지가 아주 어린 나이, 새끼일.. 2022. 12. 19. [동물 생태계]동물 동성애는 그냥 자연 현상일까? ◈[동물 생태계]동물 동성애는 그냥 자연 현상일까? ▣동물 동성애 *영어로 homosexual behavior in animals라고 하며 한국말로는 동물의 동성애라고 하며, 일종의 동물의 짝짓기이다. 자연환경에서 자주 나타나는 현상으로, 성적 활동, 양육, 짝짓기와 구애, 애정 등 모든 분야에서 나타난다. 약 1500여 종의 동물에서 동성애가 발견되었으며 1999년까지 영장류에서 모든 동물을 통틀어 이루어 졌다. 그 중에서 500여 종에 대해 학계에서는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었다. 아직 대다수 종류에 대한 연구 진행이 이루어지지 않은 지금, 어떤 일이난 행동을 일으키게 하는 계기와 작용에 대해서는 완벽하게 알 수가 없다. ▶유전적 원인 학계에서는 연구결과 푸코오스변성광효소 유전자가 불능화된 암컷 실험용.. 2022. 11. 30. 개, 강아지 노즈워크 장난감 보다 The 좋은 산책 하세요? ◈개, 강아지 노즈워크 장난감 보다 The 좋은 산책 하세요? *개, 가아지에게 노즈워크는 필수이다. 장난감으로 하는 노즈 워크가 산책만큼 좋을 까요? 사랑하는 반려견의 스트레스를 날려주는 노즈 워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개, 강아지 노즈워크 강아지에게 냄새를 맡게 한다는 것은 인간이 최고 좋아하는 것, 예를 들어 책을 읽는 것이고, 스포츠를 즐기고 싶으면 운동을 하는 것처럼 강아지에게는 명상을 하는 것이며 스스로를 회복하는 과정과 같은 스트레스 해소이다. 밖에 나가 마음껏 냄새를 맡게 하는 것만큼 강아지들을 기분 좋게 하는 것은 없다고 한다. 그만큼 코를 사 용하는 건 단순히 냄새를 맡는 것 그 이상의 의미가 있다고 한다. 우리는 코로 맛있는 음식과 냄새 향긋한 꽃향기를 맡기도 하고 다양한 향수 냄.. 2022. 11. 27. 사람에게 좋은 음식, 고양이 에게도 좋을까? ◈사람에게 좋은 음식, 고양이 에게도 좋을까? *사랑스러운 고양이가 좋아하는 음식을 자세히 알아보았다. 아무리 좋은 음식이라도 과하면 좋지 않은 법이다. 항상 적당량을 먹이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1. 고기류 우리 사람에게도 없어서는 안되는 소고기. 돼지고기는 영양가가 높고 에너지를 높이는 음식이다. 단백질이 풍부하고 비타민과 철분 함유량이 높아 간식으로 조금씩 준다면 크게 문제 될 것은 없다. 닭고기 등은 지방이 붙어 있지 않은 살코기로 닭가슴살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무른 변을 보는 증상에도 개선시켜 준다고 한다. 변비가 있는 고양이에게는 잠시 주지 않는 것이 좋다. (닭뼈는 절대 주지 않아야 한다.) 2. 생선류 연어. 정어리. 멸치등은 오메가 3가 풍부해 체내 중성지방을 낮추어 혈행을 개선하고 피.. 2022. 11. 22. [반려묘]고양이 습성을 아시나요? ◈[반려묘]고양이 습성을 아시나요? *고양이들의 습성을 하나씩 알아보고 꼭! 반드시 알아야 할 주의사항을 꼼꼼히 살펴본다. ▶고양이의 습성(반려묘) 1. 사회성 사람, 가축, 다른 동물들과의 생활이 밀접하여 고양이가 점차로 공생을 할 수 있게 자연적으로 사회적 적응이 되게 하였으며, 사람이나 다른 동물들과 함께 어울리는 방법을 자연스럽게 잘하게 되었던 것 같다. 다른 고양이를 그루밍해 주는 것을 보면 고양이끼리 친구가 될 수 있다. 동물행동학에서는 고양이를 키우고 있는 사람은 고양이에게 마치 어미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고 한다. 행동적 유형성숙이라는 관점에서, 집에서 자란 어른 고양이는 마치 새끼 고양이 시절의 연장인 것처럼 행동한다. 무리 생활을 하지는 않지만 자신보다 높은 서열의 고양이의 식사 순서.. 2022. 11. 20. [반려묘] 고양이 신체 구조마다 다른 특징, 고양이 역사 ◈[반려묘] 고양이 신체 구조마다 다른 특징, 고양이 역사 ▶고양이의 어원 학명 Felis catus는 라틴어로 고양이를 뜻하는 fēlēs와 cattus에서 온 것이다. cattus는 6세기부터 쓰기 시작했으며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있는데, 콥트어 ϣⲁⲩ šau에 여성형 접미사 -t가 붙은 단어에서 온 것이라는 설, 고대 게르만어에서 왔다는 설, 아랍어 قِطَّة qiṭṭa에서 왔다는 설 등이 있다. 고양이는 중세어 ‘괴’에서 왔다. ‘괴’가 ‘괴앙이’로 변했고, 이것이 ‘괭이’를 거쳐 오늘날의 ‘고양이’가 됐다. (학명: Felis catus, 영어: Cat)는 식육목 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류이다. 들고양이(영어: Wild Cat)는 약 10만 년에서 7만년 전부터 존재했다. 길들여진 고양이의.. 2022. 11. 18. 이전 1 2 3 다음